그래픽파일 포맷의 종류 및 특징

파일포맷이란 파일을 저장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특히 그래픽 파일의 경우 어떤 방식으로 압축하느냐에 따라서 이미지의 용량을 줄이고 늘일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어떤 프로그램에서 이미지를 사용하고자 할 때엔 그 프로그램을 지원할 수 있는 파일포맷이 무엇인지 알아두어야한다.



그래픽 파일 형식

  • PSD,PDD(PhotoShop format)
    Photoshop 파일은 포토샵에서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파일포맷이다. 포토샵에서 다루는 모든 문자레이어, 투명레이어, 채널, 스포트채널, 패스 등을 모두 저장할 수 있으며 이미지의 압축율도 좋고 무엇보다 포토샵의 모든 정보를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이 쓰이게 된다.

  • BMP(bitmap)
    윈도우즈의 페인트브러시를 비롯, 대부분의 윈도우즈용 그래픽 프로그램들이 지원하는 비트맵 파일 형식이다. 데이터의 압축이 지원되지 않아 그림의 입출력시 데이터 전송속도가 빠른 편이다. 그러나 압축되지 않은 형태이므로 파일의 크기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 GIF(Graphic Interchange Format)
    GIF는 미국의 통신망인 컴퓨서브(CompuS|rve)에서 만든 파일 포맷으로 모뎀을 통한 이미지 파일의 업로드 및 다운로드에 사용할 목적으로 제정한, 높은 파일 압축률과 빠른 실행속도가 장점이다. LZW방식(Lempel, Zev, Welch 세사람이 공동으로 개발한 압축방법으로 TIFF나 GIF 파일 포맷의 압축에 이용된다.)의 압축법을 사용하므로 이미지의 손실이 없으나 읽어들이거나 저장하는 속도가 느린 단점이 있다. 지원하는 최대 해상도는 65,536 x 65,536이며, 256가지의 컬러를 사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인터넷의 활기와 더불어 가장 많이 사용되는 파일의 하나로 자리잡고 있다.

  •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JPEG란, 사진과 같은 고해상도 압축을 위한 정지화상에 적용하 는 프레임 한 프레임내에서 인접한 Pixel간에 공간영역에서 중복성을 제거하는 압축기술로서 그 방법으로는 DPCM(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Predictice Coding), 예측부호화, 변환부호화 (Transform Coding), 대역분할 부호화(Subband Coding)등이 있 다. JPEG파일은 RGB모드와 CMYK모드를 둘 다 지원하는 파일포맷이며 압축율이 가장 높은 파일포맷방식이다. 압축율을 고도로 높이기 위해 손실압축을 사용한다. 손실압축은 이미지의 질을 떨어뜨리면서 파일의 용량을 줄여주는 압축방식으로 압축율을 높이면 이미지의 질에 손상이 심해지고 압축율을 낮추면 손상이 줄어든다. 레이어와 알파채널은 지원하지 않는다. 이미지를 JPEG로 저장할 때는 그 이미지가 사진처럼 연속적인 톤으로 된 이미지에만 사용하길 권한다. 스크린 캡춰나 몬드리안의 콤포지션같은 고대비 이미지는 면과 면 혹은 선과 선의 경계선의 이미지 손실이 심하다. 이때는 GIF나 비손실 압축을 하는 TIFF파일포맷이 적당하다.

  • PCX
    ZSoft사의 페인트브러시에서 기본으로 지원하는 형식으로 IBM의 EGA, VGA보드상에서 주로 사용되는 그래픽 포맷이다. GIF포맷처럼 페인트브러시의 파일 형식으로 현재 PC에서 가장 많이 쓰이고 대부분의 프로그램에서 지원하는 가장 호환성이 좋은 그림파일의 하나다. 원래 8비트색상만을 지원했으나 현재는 24비트 색상까지를 지원한다.

  • TIFF(Tagged Image File Format)
    TIFF는 앨더스사에 의해서 개발되었으며 이미지 데이터의 전송을 주목적으로 만들어졌다. 따라서 입출력 속도나 전송효율이 뛰어나 팩시밀리나 스캐너 등의 작업에 주로 이용된다. 매킨토시와 IBM PC 호환기종 간에도 데이터의 호환이 가능하다. 컬러 정보나 해상도, 어떤 크기의 파일도 처리가 가능하며, 흑백이미지에서 24비트 트루칼라까지 다양하게 지원한다. 그러나 TIFF포맷은 계속 버전업되면서 하위 버전의 포맷을 읽을 수 없는 경우가 있어 같은 TIFF포맷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더라도 버전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 TGA(Targa)
    타가보드용 그래픽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파일형태로서 트루비전사에서 제정한 Targa와 Vista 비디오 보드를 사용하는 MS-DOS컬러 그래픽 애플리케이션의 표준 포맷이다. 일반 VGA용 그래픽 프로그램과는 호환성이 그다지 좋지 않은 편이다. 간혹 임의의 프로그램에서 읽어진다 하더라도 색상이나 해상도에서 차이가 나므로 호환성면에서는 좋지 않다.

  • 3DS(3D Studio)
    오토데스크사의 3차원 그래픽 애니메이션 프로그램인 3D-STUDIO에서 사용하는 모델링 파일의 포맷이다.

  • CDR(Corel DRaw)
    코렐 드로우에서 사용하는 파일 형식이다.

  • CGM(Computer Graphics Metafiles)
    벡터형식의 파일로서 클립아트로 쓰기에 유용하며 매우 다양한 형식이 있다. ANSI 표준그림 형식으로만 구분된다.

  • DIB(Device Independent Bitmap)
    윈도우의 BMP파일과 내부적으론 동일하고, 프로그래밍과 멀티미디어 응용프로그램에 쓰이는 파일 포맷 형식이다.

  • EPS(Encapsulated PostScript)
    EPS는 글과 그림에 모두 사용되는 장치 독립적인 언어로서 platform에 관계없이 어떤 포스트스크립트 프린터에서도 동일한 출력결과를 얻을 수 있지만 그 복잡성 때문에 단순한 그림 형식이라고는 볼 수 없다.
    포스트스크립트 형식이므로, 대부분의 그래픽 포맷은 바이너리 데이터로 저장되어 있는데 반하여 EPS는 텍스트 포맷으로 저장된다. EPS 파일을 워드프로세서로 열어보면 하나의 그래픽 전용 언어임을 알 수 있다.

  • FLI, FLC
    오토데스크에서 개발된 도스용 그래픽 애니메이션 프로그램인 3D-STUDIO와 애니메이터 프로에서 사용하는 애니메이션 그래픽 파일 형식이다. 320 x 300의 크기와 8비트의 컬러만을 지원하며 사운드는 지원하지 않는다. 이 파일은 길이 압축만 하기 때문에 파일의 크기가 매우 크다.

  • Amiga IFF(Interchange Format File)
    코모도어사의 아미가 컴퓨터용 이미지 파일 포맷으로 Electronic Art사에 의해 개발된 형식으로서 PC에서는 Electronic Art사의 디럭스 페인트와 디지털 버전의 Computer Eyes에서 사용하기도 한다. 각각 LBM과 CE의 확장명을 가지지만 기본적인 파일구조는 같다. 이미지 이외에도 정보를 넣을 수가 있어, 멀티미디어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아미가 컴퓨터의 인기가 떨어져 Video Toaster라는 비디오 편집 용도 외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지만, 몇 년전까지만 해도 애니메이션 부분에 있어서 특히 강점을 가진 기종으로 IBM, 매킨토시 기종 다음으로 많이 사용되는 컴퓨터였다.

  • LBM(ILBM : InterLeaved BitMap)
    Delux Paint프로그램에서 나왔다. IFF형식의 압축한 파일의 표준형태가 ILBM이다. 훨씬 느리지만, IFF를 읽을 수 있으면 LBM도 읽을 수가 있다.

  • MAC(MACPaint)
    매킨토시의 맥페인트에서 나온 형식이다. 매킨토시형식으로 클립아트의 큰 라이브러리가 존재한다. 매킨토시용 파일이 PC로 옮겨질 때 헤더가 덧붙여진다.

  • PCD(Photo CD)
    Kodak의 Photo CD파일 형식이다. 사진을 Kodak의 image workstation을 이용해 CD에 옮길 수가 있으며, 이를 보통의 PC이미지처럼 취급할 수가 있다. 따라서 스캐너가 없더라도 아주 고선명도의 그림을 얻을 수가 있다. 가장 큰 2048 x 3072크기에 24비트의 그림은 18.9MB의 메모리를 필요로 한다.

  • PCT(PICT)
    매킨토시 표준의 그래픽 포맷이다. 모든 매킨토시 그래픽 프로그램에서 읽을 수 있고 저장할 수 있는 PICT파일.